터 한국 내의 윤 대통령 비난
페이지 정보
작성자 test 조회 13회 작성일 2024-12-11 16:14:07본문
지난달 중순부터 한국 내의 윤 대통령 비난 집회 소식 등을 매일 보도하던노동신문은 4일 윤 대통령 비난 성명과 집회 소식을 전한 이후 한동안 침묵을 지켰다.
노동신문은 7일 만인 11일에야 비상계엄 사태를 알리며 비난 공세를 재개했다.
매든은 "김정은은 군사적 행동이나 군사 무기 시험을 승인해 지역의.
11일 북한 주민들이 보는노동신문과 대외용 매체 조선중앙통신은 "심각한 통치위기, 탄핵위기에 처한 윤석열 괴뢰가 불의에 비상계엄령을 선포하고 파쇼 독재의 총칼을 국민에게 서슴없이 내대는 충격적인 사건이 일어나 온 괴뢰한국 땅을 아비규환으로 만들어놓았다"고 보도했다.
뉴스1 제공 이 기사는노동신문에도 실렸으며, 신문은 글과 함께 국회의사당 앞 촛불집회가 진행되는 사진도 함께 보도됐다.
통신은 지난 3일 밤 윤 대통령의 비상계엄 선포와 6시간 뒤 해제, 7일 국회 본회의에서 윤 대통령 탄핵소추안 발의와 여당 의원들의 집단 퇴장으로 탄핵안 표결이 이뤄지지 않은 소식 등을.
주민들이 보는노동신문6면에도 같은 내용이 21장의 사진과 함께 실렸다.
사태 8일 만으로 북한의 첫 공식 반응이다.
북한은 계엄사태에 대해 “심각한 통치·탄핵위기에 비상계엄령을 선포하는 충격적인 사건이 일어나 온 땅을 아비규환으로 만들었다”고 평가했다.
북한은 ‘여러 대의 직승기(헬리콥터)와.
노동당 기관지노동신문은 ‘괴뢰한국에서 비상계엄사태로 사회적 동란 확대, 100만 이상 군중이 전역에서 윤석열 탄핵을 요구하는 항의행동 전개, 국제사회가 엄정히 주시’제하의 기사를 여의도 국회 앞에 모인 군중 사진과 함께 보도했다.
남측 관련 기사와 국제기사를 실어온 신문 마지막 면인 6면에.
해당 기사는 북한 주민들이 볼 수 있는노동신문에도 실렸다.
신문은 글 기사와 함께 국회의사당 앞 촛불집회가 진행되는 사진도 실었다.
남측 언론에 보도된 사진을 그대로 사용한 것으로 보인다.
통신은 지난 3일 밤 윤 대통령의 비상계엄 선포와 6시간 뒤 해제, 7일 국회 본회의에서 윤 대통령 탄핵소추안.
실제로노동신문은 지난달 중순부터 윤 대통령 비난 집회 소식 등을 매일 보도하다가 계엄 직후인 4일 윤 대통령 비난 성명과 집회 소식을 전한 이후엔 관련 보도를 하지 않았다.
그러다가 7일이 지난 11일에야 비난 공세를 재개했다.
11일 조선중앙통신은 “심각한 통치 위기, 탄핵 위기에 처한 윤석열 괴뢰가.
비상계엄 선포 이후 북한의 대외 선전매체인노동신문의 태도 변화에도 주목했다.
노동신문은 지난달 중순까지 한국에서 벌어지는 대통령 반대 집회 상황을 매일 보도했으나, 계엄령 선포 이후 7일간 관련 보도를 중단했다.
11일이 되어서야 계엄 사태를 언급하며 비난을 재개했다.
/사진=노동신문·뉴스1[/caption] 북한 각 기업소들이 이달 말 노동당 전원회의를 앞두고 연말 성과를 다그치고 있다.
일부 공장에서는 계획을 초과 수행하면 식료품을 공급하겠다며 당근책을 제시하기도 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그러나 정작 노동자들은 이에 시큰둥한 반응을 보이고 있다는 전언이다.